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00
  • 토요일 09:00 - 12:30
  • 점심시간 12:30 - 14:00

일요일/공휴일 : 휴진

062-972-7575

커뮤니티


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칼럼

제목

화낼 때마다 혈관 ‘이런 손상’ 입는다

미국 컬럼비아대 어빙 메디컬센터 연구팀, 280명 임상분노 느끼면 40분간 혈관 이완 능력 떨어져세포의 재생 능력도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나화를 내면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 결과(translational research of the acute effects of negative emotions on vascular endothelial health: finding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부정적 감정이 혈관 건강에 미치는 중개연구: 무작위 대조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에 최근 게재됐다.

화를 내면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ㅣ출처: 미드저니미국 컬럼비아대 어빙 메디컬센터(columbia university irving medical center) 다이치 심보(daichi shimbo) 박사팀은 뉴욕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 280명을 대상으로 분노, 슬픔, 불안 등 부정적 감정이 혈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을 편안한 상태에서 30분 동안 쉬도록 한 후, 혈압과 혈류를 측정해 혈관 확장 정도를 확인하고 혈액 샘플을 채취해 세포 손상 정도와 세포 재생 능력 등을 평가했다. 이후 이들은 △분노 △불안 △슬픔 △무감정(대조군) 등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눠 8분 동안 각각에 해당하는 감정을 유도했다. 분노와 불안 그룹엔 각각 자신을 화나게 하거나 불안하게 했던 기억을 떠올리도록 했다. 슬픔 그룹엔 우울한 감정을 유발하는 글을 읽도록 했으며, 대조군인 무감정 그룹엔 0부터 100까지 숫자를 세도록 했다. 연구진은 참가자가 과제를 수행한 이후 3분, 40분, 70분, 100분 등 네 번의 시점에 걸쳐 이들의 혈압과 심박수, 혈관의 변화 등을 반복 측정했다. 분석 결과, 분노를 느낀 그룹에서 실험 직후부터 40분 뒤까지 혈관이 이완되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혈관의 이완 능력이 손상되면 죽상동맥경화증 발병 위험이 높아지고, 이는 결국 심장마비나 뇌졸중 등 치명적인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진다. 반면, 불안과 슬픔 그룹에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심보 박사는 “화를 내지 않고 살 수는 없지만, 반복해서 화를 내면 혈관이 만성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라며, “ 이 상태가 지속되면 결국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혈관이 손상돼 결국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진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분노라는 부정적 감정이 혈관 기능을 손상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분노가 이런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