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00
  • 토요일 09:00 - 12:30
  • 점심시간 12:30 - 14:00

일요일/공휴일 : 휴진

062-972-7575

커뮤니티


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칼럼

제목

살 빼려 운동했는데 되레 쪘다면?...‘이렇게’ 운동했기 때문

일본 츠쿠바대 연구팀, 쥐 대상 실험고강도 운동이 오히려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어코르티코스테론의 일주기 리듬 이상이 원인격렬한 운동이 오히려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 결과(acute vigorous exercise decreases subsequent non-exercise physical activity and body temperature linked to weight gain(급성 고강도 운동은 이후의 신체 활동량을 줄이고 체온을 감소시켜 체중 증가에 영향을 준다)는 국제학술지 ‘스포츠와 운동의 의학 및 과학(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에 최근 게재됐다.

격렬한 운동이 오히려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ㅣ출처: 미드저니일본 츠쿠바 대학교(university of tsukuba)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고강도 운동의 체중 감량 효과에 대해 알아봤다. 연구진은 고강도 운동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코스테론의 일주기 리듬을 깨뜨려 신체 활동량을 줄이고 체온을 감소시켜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연구팀은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쥐를 △고강도 운동 △중등도 운동 △휴식 등 세 그룹으로 나누고, 운동 그룹은 강도에 차이를 두고 30분간 러닝머신을 사용하도록 했다. 이후 복강에 삽입된 활동 모니터를 통해 운동 전 2일부터 운동 후 3일까지 이들의 신체 활동량과 체온을 관찰했다. 연구 결과, 고강도 운동군에서는 음식 섭취량에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후 신체 활동량과 체온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했기 때문. 특히 깨어 있는 동안 상대적으로 낮은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신체 활동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코르티코스테론은 일주기 리듬을 따르는데, 수면 중 가장 낮고 잠에서 깰 때 최고조에 이른다. 연구진은 “깨어 있는 동안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수치가 낮았다는 것은 코르티코스테론의 일주기 리듬에 이상이 생겼다는 것”이라며,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운동 중 소모되는 칼로리뿐만 아니라 일주기 리듬 등을 고려해 운동 강도를 결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