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00
  • 토요일 09:00 - 12:30
  • 점심시간 12:30 - 14:00

일요일/공휴일 : 휴진

062-972-7575

커뮤니티


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칼럼

제목

단짠 음식에 빠져든 아이들…마라탕후루 대체할 간식은?

소아청소년의 식생활이 화두에 오르고 있다. 배달의민족이 발표한 <배민트렌드 2022>에 따르면 10대가 가장 많이 배달한 메뉴 1위는 마라탕, 매운 떡볶이와 치킨버거 세트가 그 뒤를 이었다. 대세 간식 탕후루는 작년 상반기 냉동?간편조리식품 부문(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정보)에서 10대가 가장 많이 검색한 제품 1위에 올랐다.전문가들은 이처럼 자극적인 음식을 즐기는 식습관을 지적하며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아동기의 잘못된 식습관은 성장?발달의 문제는 물론 고혈압, 당뇨로 이어질 수 있다┃출처: 클립아트코리아

중독 부르는 ‘단짠’ 음식, 어린이 건강에 악영향마라탕, 탕후루처럼 지나치게 달고 짠 음식은 중독을 부른다. 소아청소년의 뇌는 자극에 예민해 이러한 음식이 더 쉽게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 문제는 이렇게 형성된 식습관이 성인기까지 이어진다는 점이다. '유럽임상영양저널'에 실린 연구를 보면, 어린 시절 단 음료를 마신 아이들은 어른이 돼서도 패스트푸드와 자극적인 간식을 즐긴다.식습관과 함께 질환도 연계된다. 한 조사에 따르면 7세에 소아 비만이었던 사람이 성인 비만으로 이어진 사례는 41%, 10~13세 때 비만인 경우 성인 비만이 된 사례는 약 70%에 달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만성질환 발병에 있어 어릴 때의 비만이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고 말한다.편중된 식습관은 영양 불균형을 부르기도 한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년 학생 건강검사 표본통계 및 청소년 건강행태조사'를 살펴보면, 학생들의 과일 섭취율은 7년째 하락 중인 반면 패스트푸드나 탄산음료 등의 섭취는 늘고 있다. 과일, 채소 섭취량이 줄면 몸에 꼭 필요한 비타민과 무기질이 부족해지면서 소화불량, 면역력 저하 등의 문제를 피하기 힘들다.과일, 채소의 섭취가 아동기 정서 함양에 영향을 준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제스프리와 오클랜드 대학교 공동 연구진이 식습관 형성기인 8~10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과일?채소를 자주 접한 어린이들은 식단의 질뿐만 아니라 ‘정서적 웰빙 지수’가 향상됐다. 연구진에 따르면 10주간 과일?채소를 꾸준히 먹은 그룹은 정서적 문제 점수가 2.2점에서 1.6점으로 27.3% 개선됐다.

영양소 밀도가 높은 키위┃출처: 제스프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아청소년에서 당류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경고하며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간식으로 과자?빵?떡류보다는 신선한 과일을 섭취할 것"을 조언한다.영양 밀도 1위 과일인 ‘키위’, 어린이 간식으로 제격여러 과일 중에서 추천할 만한 것은 키위다. 상큼달콤한 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어린아이들의 취향에도 잘 맞을 뿐 아니라 ‘영양소 밀도 1위’ 과일로 적은 열량 대비 풍부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어서다.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키위는 골드키위와 그린키위다. 골드키위는 비타민 c 등 20여 종의 영양소가 함유돼 있어 면역력 및 체력 증진에 좋다. 한 달간 골드키위를 매일 2개씩 먹은 사람은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호중성 백혈구 활성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그린키위는 배앓이를 자주 하는 아이들의 간식으로 추천한다. 천연 소화효소인 ‘액티니딘’을 함유하고 있어 단백질 소화를 돕고, 장 건강을 개선하기 때문이다. 저포드맵 식품으로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다는 점, 식이섬유와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해 변비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